2023. 9. 2. 13:55ㆍNetwork/OSI 7 Layer
OSI 7 Layer 는 통신에 있어서 가장 먼저 접근해보는 표준 모델
왜 먼저 접근해보고 표준 모델인지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!
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의 약자로 OSI 7 Layer로 표현이 되는데요
먼저,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 입니다.
일반적으로 우리가 PC를 사용할때 UTP라는 인터넷 랜 케이블을 연결하고 인터넷이 되는지 ? 확인하고 사용을 하는데요.
그 과정을 한번 보겠습니다!
1 단계 : 물리(Physical Layer)단계로 데이터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계층
- 케이블(UTP, Optical 등) , 리피터, 허브 등
- Date가 들어오면 1101 의 이진수로 변환되어 전송
- Topology 구성 (bus, point-to-point, mesh 등..)
2 단계 : 데이터 링크(Data link Layer)단계로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
- 유선,무선 LAN 기능 : 이더넷, 토큰링, FDDI, 802.11(무선 네트워크 or 와이파이), TCP/IP 등..
-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을 하게되고, Point-to-Point 간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CRC기반의 오류제어와 흐름 제어를 하게 됩니다.
- 논리적 연결제어(Logical Link Control) : 상위 계층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, 서로 다른 기술이 상위 계층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함
- 매체접근제어(MAC,Media Access Control) : 많은 네트워크는 공유 매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충돌을 피하기 위해 매체를 관리하기 위한 규칙 필요, 이더넷은 CSMA/CD, 토큰링은 토큰 전달 방법을 활용한 통신 방법
- 전송 단위 : Frame
* 흐름제어 :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 차이를 조정
* 오류제어 : 오류 검출과 회복
* 순서 제어 : 프레임의 순서적 전송 / 프레임 동기화
* 프레임 동기화 :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별하기 위한 동기화
3 단계 : 네트워크 (Network Layer)단계로 경로와 주소를 정하고 패킷을 전달해주는 역할하는 계층
- 논리적 주소 지정 : 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논리적 주소를 가지고 있음, 인터넷의 경우 모든 Device엔 IP 주소를 가지고 있음
- 라우팅 네트워크 : 여러 곳에서 들어오는 패킷을 받아 최종 목적지를 파악하고, 그 목적지로 보내기 위한 패킷이 통과해야할 다음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 수행
- 데이터그램 캡슐화 : 상위 계층에서 받은 메시지에, 네트워크 계층 헤더를 붙여 캡슐화하여 데이터그램(패킷)을 만듬
- 단편화와 재조합 : 제한된 메시지의 길이보다 크면 단편화가 발생하게 되는데, 단편화된 패킷을 목적지 Device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재조합해야된다.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이 IP가 있다
- 에러 처리와 진단 : 논리적으로 연결된 Device들이 네트워크나 장비 상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하는 프로토콜을 사용
- 전송단위 : Packet
4 단계 : 전송 (Transport Layer)단계로 양 끝단 사용자들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
-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신뢰성 있고,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오류검출 및 복구, 흐름제어와 중복검사 등을 수행
- TCP/UDP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Port 번호 사용
- 전송단위 : Segment
5 단계 : 세션 (Session Layer)단계로 통신 세션을 구성하기 위해, Port 번호 기반으로 연결을 하게 되고, 통신 장치 간의 상호 작용을 설정하고 유지하며 동기화역할하는 계층
- 동시 송수신(Duplex), 반이중(Half-Duplex), 전이중(Full-Duplex) 방식의 통신과 함께 연결되고 끊어지고의 과정을 수행
6 단계 : 표현(Presentation Layer)단계로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에서 데이터의 형식(png, jpg 등)을 정의해주는 계층
- 받은 데이터를 코드 변환, 구문 검색, 인코딩 - 디코딩 및 암호화, 압축의 과정을 수행
7 단계 : 응용(Application Layer)단계로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
- 파일 전송,DB,메일 전송 등 여러가지 응용 서비스를 연결해주는 역할
- HTTP, FTP, SMTP, DHCP, Telnet, SNMP 등..
참조 : 구글 이미지 참고..